안녕하세요.

해양학(Oceanography)은 바다(해양)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해양공학은 석유 플랫폼, 선박, 항만 등
해양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구조물의 건조·설계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또 항해의 안전성 제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양지질학은 지구 내부의 성분, 지각의 변동, 해저퇴적물의 특성, 고기후에 대한 연구를 한다.
최근 물리해양학은 공해로 인한 기후 변화에 대한 예측이 중요해짐에 따라 학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해양공학은 석유 플랫폼, 선박, 항만 등 해양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구조물의 건조·설계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양생물학은 분포와 특성, 해양-대기의 상관관계로 인한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해양생물로부터 유용한
물질을 얻기 위해 연구하는 분야이다.
화학해양학은 해양의 용존
고체 및 기체와 이들 성분이 해양에
미치는 생물학적 지질학적· 관련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표고와 수심물리해양학은
특히 해수의 운동과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바다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조건과 현상을 연구하는 해양학의 한 분야이다.
지구에 있는 물의 97%는 해수이고, 해수는 수증기 순환을 통해 지구에 비나 눈이 내리게 한다.
대륙의 평균 고도는 840 m에 불과하나, 해양의 평균 심도는 3,800 m에 달하고,
해수는 온도의 변화 폭에 따라
여러 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바다쓰레기란??
인간이 만들어낸 쓰레기가 고의 또는 과실로 강이나 운하 등 물길을 통해 바다로 흘러들기도 하고, 해양투기(海洋投棄, ocean dumping)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바다 쓰레기(marine debris) 또는 해양 쓰레기(海洋---)는 바다 표면과 바다 속에 존재하는 쓰레기이다.
이로 인하여 바다 한가운데에
쓰레기 섬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물에 뜨는 쓰레기는 조류를 타고
해변에 쓸려와 쌓이는데,
이를 따로 해안 쓰레기(海岸---, beach litter)
라 부르기도 한다.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s)은 생물물리학적 용어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미세한 플라스틱을 의미한다.
플라스틱이 미세 플라스틱으로 분해 되면서 바닷 속을 떠다니며 해양환경에서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5mm보다도 작은 입자와 정의하고 있는 연구자도 있다.그러나 일부의 해양연구자는 1mm보다도 작은 현미경 사이즈의 모든 플라스틱 입자로 정의하고 있지만, 현장에서의 채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뉴스톤넷의 메시 사이즈가 333μm ( 0.333mm)인 것을 인식하고 ,미세 플라스틱이 야생생물과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과학적으로 충분히 연구되지 않고 있다.
하수도에 흘러드는 세탁 배수중 미세 플라스틱 입자와
가정에서 의류의 세탁에 의한 천으로부터 합성섬유가 분리, 환경중의 미세 플라스틱의 조성과의 비교에 의해 1km미만의 입경의 미세 플라스틱 오염의 대부분이 천에서 분리된 합성섬유로 구성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
해양 쓰레기 같은 큰 플라스틱 재료가 깨져 조금씩 조금씩 자잘한 단편(여럿으로 끊어진 조각)이 된 결과, 환경중에 형성된 미세 플라스틱(2차 미세 플라스틱).초래하는 원인은 물결 등이 기계적인 힘과 태양광, 특히 자외선(UV)이 일으키는 광화학적 프로세스이다.
'해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양오염에 관하여,PDF파일제공 (0) | 2020.11.03 |
---|---|
바다에 관한 지식2 ,영해,접속수역 (0) | 2020.10.18 |
수압과 해양에 관한 모든 지식 1 (0) | 2020.10.13 |
해수면,내수면,해발고도에 대하여 (0) | 2020.10.11 |
물리해양학과 태풍에 관하여 알아볼까요 (0) | 2020.10.10 |